근 퍼빙이라는 말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퍼빙이란, 최근 미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퍼빙(phubbing)의 정확한 뜻은 휴대전화의 'phone'과 무시한다는 뜻의 'snubbing'의 합성어로 주변 사람에게 냉담할 정도로 스마트폰에만 열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퍼빙이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전엔 스마트폰(smartphone)’과 ‘좀비(zombie)’를 합성하여 ‘스몸비(smombie)’라는 신조어도 유행했던 만큼 현재 이 시대에서 스마트폰은 우리 문화에서 많은 것을 바꾸고 있다.




한번 우리 주변을 돌아보자. 우리는 과연 눈 앞의 상대보다 스마트폰에 더 많은 눈길을 주고 있지 않은가? 일상 생활 속에서도 퍼빙이라는 단어가 적용될만한 순간들이 많다. 가족과의 식사에도 아이폰은 수저보다 더 가까운 곳에 식탁위에 올라와 있고, 까페에서도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은 언제든 꺼내야할 무기인냥 내 손에 붙어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곁의 상대방과 아닌 스마트폰과 대화를 한다.


많은 심리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은 스마트폰이 결국 우리 사회의 정서적 공감 능력 결여와 연결된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과 직접 대인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눈빛,손짓,몸짓,그리고 진심을 우리는 이제 단문 텍스트 몇줄로 대신하고 있다. 누군가에게 정보를 전달할때도 전화로 하기보다 문자나 카톡으로 대신하는 사회. 어쩌면 복잡할 것 없이 심플하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SEND와 RECEIVE로만 이루어지는 단순한 사회는 아니다. 누군가에게 텍스트로 설명되지 않는 내 마음을 전달해야하며, 텍스트로는 말 할 수 없는 또는 말 하기 싫은 표정과 감정을 전달해야한다.




스마트폰이 이 사회에 유용한 기능을 많이 하고 있지만 그러한 단면에는 퍼빙이라는 단어가 나온것 처럼 인간과 인간을 나눠놓는 이러한 양면적인 도구가 되기도 한다. 급한 일이 있어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아닌 우리는 무의식 중에 스마트폰을 찾고 놓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혹자는 스마트폰 때문에 우리는 생각하는 능력을 잃고 있다고도 한다. 그리고 이제는 공감하는 능력도 위협받고 있다. 과연 우리에게 지금 이 순간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어쩌면 먼 훗날 우리 인간은 스마트폰에 언어능력까지 위협받을지도 모른다. 누군가와 말을 할 필요가 없으니까. 퍼빙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시니컬한 사회의 단면을 풍자하는 단어로만 그쳤으면 좋겠다.



블로그 이미지

stranger choi

,




North Korea will do what it's done before'

"Kim Jong-un has already gotten a lot out of these talks - he's put himself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US president and that will be playing very well back home," former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told the BBC.
"The question is: What can the US get out of the summit? Not only a promise to denuclearise - North Korea has broken those in the past. The question is can Donald Trump and his team engage Pyongyang on a basis where they can agree on a time scale of, for instance, two years. Otherwise North Korea will do what they have done before: they will just say that they will eventually get rid of the nukes and will work on how that can be done."

북한은 과거를 재현할 수 있다?
전 주한미국대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은 이미 이 회담을 완벽하게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이미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같은 위치에 자신을 세웠으며, 아주 잘 이뤄내 돌아갈 것이다."라고 답했다.
"의문점은, 결국 미국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이다. 단지, 비핵화에 대한 약속은 전에 이미 북한이 했었고, 이를 어긴 적이 있다. 즉,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 일행은 예를 들어, 2년 안에와 같은 정확한 시간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전과 같은 사태는 분명 다시 일어날 수 있다. 단지, 핵을 완전히 제거하고, 어떻게 없애는지에 대해서 말한 것 뿐이라고 말이다.

'Can Trump build on this?'
Here's what veteran US diplomat and former ambassador to South Korea Christopher Hill told the BBC:
"Any previous president could have met with the North Korean leaders. But they haven't because the North has not stepped back from his nuclear ambitions. Trump has done it differently."
"I suspect at the end of the day, the North Koreans will say that they will get rid of the nuclear weapons but will not say when that will happen. So that will then be the same as what we've had in previous talks with them. The question is whether President Trump can really build on that."

트럼프가 결국 해낼 수 있을까?
다음은, 배테랑 미 외교관이자, 전 주한 미국 대사관이였던 크리스토퍼 힐이 BBC에 전한 말이다.
"어떤 전 미국 대통령도 북한의 리더와 마주한 적이 없다. 북한은 절대 핵에 대한 야망을버린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조금 다르다."며, "나는 이번 회담이 끝날 때, 북은 핵 무기를 포기하겠지만, 언제 포기할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을 것이라 장담한다. 결국 우리가 전에 나누었던 이야기와 같은 상황이 될 것이다. 여기서 트럼프가 어떻게 해낼지가 가장 궁금한 점이다."고 전했다.

이전은,BBC 뉴스의 일부를 발췌해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영어 실력이 완벽하지 않고, 일부 의역이 있는 점을 양해해주길 바란다. 북미 정상회담이 화두다. 북한과 미국 대통령의 만남은 실로 역사적인 것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디까지 논의가 되고, 어디까지 정해지냐는 것이다. 카더라에 따르면 이미, 몇 해전부터 북한은 이와 같은 상황을 철저히 준비했고 이제 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북한의 판과 미국의 판이 어디까지 커질 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블로그 이미지

stranger choi

,

제 우리 이방인 부부는 재밌는 프로를 하나 봤습니다.

 SBS 스페셜의 취준진담 편이 그것인데요,

취준생,N포세대,노오력 등 다양한 신조어가 있을만큼

청년 실업은 누가 뭐래도 시대의 큰 이슈입니다.


그리고 이 청년 실업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세대간의 갈등까지 연결시킬 수 있는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취업하기 힘든 젊은 세대는 다양한 스펙들을 쌓으며

예전 시대의 구직자들의 스펙 그 이상의 준비를 합니다.

그래도 원하는 곳에 취업하는 사람은 1프로 미만입니다.


하지만 IMF 이후 세대 경제가 호황인 시기의 세대는

지금보다는 쉽게 일자리를 구할 수 있었고

회사의 성장가도와 함께 지금의 자리까지 승승장구 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취업에 대한, 직장에 대한 세대간의 시각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평생 직장? 충성도? 희생정신? 열정?

요새 이런 말하면 소위 꼰대라고 불립니다.


이번 SBS 스페셜에는 소위 말하는 꼰대들과

아무리 노오력(노력보다 더 큰 노력을 하라는 말로 사회가 혼란하니 노력 가지고는 되지도 않는다는 것...)해도

취업할 수 없는 이 시대의 청춘들이 면접을 진행합니다.


단, 면접자와 피면접자는 반대로.

참신하죠?


각 기업을 대표로하는 기성세대들이 피면접자가 되고

취업준비생인 청춘남녀들이 면접관이 됩니다

(보면서 우리 부부는 솔직히 좀 통쾌했습니다ㅎㅎ)



왜 취업이 되지 않는가에 대한

티웨이 항공의 상무님의 답변.


청년들이 더 노력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더 구글링해서 기업 정보도 찾고 홈페이지에서 이슈를 분석하라고 합니다.

(취업 준비생 중에 간절한 취준생들은 이미 다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만...)



이에 대한 면접관(취준생)의 돌직구

우리의 준비 자세가 문제이냐?


하지만 기성세대인 티웨이 항공의 임원분은

시대의 문제가 아닌 청년 개인의 문제로 청년실업과 취업난의 원인을 진단합니다.

흠...

(조직에선 좋은 상무님 같긴 한데 고루한 시각은 아쉽네요..)


그리고 또 다른 면접관(취준생)은

회사를 다니다 퇴사하고 새로 취준생이 된 중고 신입인데

신입들이 왜 회사를 퇴사하는 것 같냐고 묻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 또한 각 기업의 대표자들은

개인의 문제, 일부 대표들은 조직의 문제라 답변은 합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답변이 아닌 두루뭉실 넘기기 답변입니다.


진짜 왜 퇴사를 하는걸까요?

진짜 청춘들이 왜 회사 생활을 어려워하고, 스트레스를 받는걸까요?



열정페이 강요, 존재하지 않는 야근수당,불필요한 단체 생활 참여 강요, 

대리 과장의 역할을 기대하고 임무를 부여하고 급여는 그대로.

연차 수당 미지급, 연차 사용 시 눈치주기 등..


회사생활을 5년 정도한 제가 생각하기엔 이렇게도 많은데요.

왜 이런것은 자세히 언급하지 않으셨을까요.

한때 취준생이었던 옛 생각에

이제 저 또한 젊은꼰대가 되지 말자 다짐합니다.


취업난 문제에 대해 세대간의 시각차이, 

세대간의 소통 부재의 이슈로 조명하며

역할을 바꾸어 역면접의 형식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의 의도가 아주 통쾌하고 재밌었습니다.


저희 이방인 부부는

노오력하지도 않아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나중에 만날 우리 아이들에게 만들어주고 싶습니다.


-18/6/11


블로그 이미지

stranger choi

,